자동화는 효율성을 높이고 업무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핵심 요소입니다. 그리고 이러한 자동화를 실현하는 매우 강력한 도구가 바로 웹훅(Webhook)입니다. 그렇다면 웹훅이란 정확히 무엇이며, 언제 웹훅을 활용해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해야 할까요?
What is a Webhook?
웹훅은 웹 애플리케이션들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방식입니다. 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, 실시간으로 데이터나 알림을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. 기존의 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 방식이 주기적으로 서버에 폴링(polling, 주기적인 요청)을 보내는 것과 달리, 웹훅은 이벤트 중심(event-driven)으로 동작합니다. 즉, 실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만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입니다.
웹훅은 중요한 일이 생겼을 때 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디지털 메신저 역할을 합니다. 예를 들어, 새로운 이메일이 수신되면 웹훅이 그 이메일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른 시스템에 보내 저장하거나 분석하게 할 수 있습니다.
Webhooks vs. API
API: 다른 애플리케이션(서버)에서 특정 데이터를 달라고 요청해야 하고, 새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주기적으로 API에 요청(폴링)을 해야 합니다. API는 데이터를 직접 쿼리해야 하고 제어권이 높을 때 적합합니다.
웹훅은 이벤트가 발생한 즉시 자동으로 데이터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합니다. 실시간 업데이트에 매우 적합하며, 폴링 없이 즉각적으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즉, API는 직접 데이터를 끌어오는 방식이고, 웹훅은 준비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받아보는 방식입니다.
특징 | 웹훅(Webhooks) | API |
---|---|---|
방식 | 이벤트 기반(푸시) | 요청 기반(풀) |
효율성 | 필요한 때만 데이터 전송 – 효율적 | 폴링 때문에 리소스 소모 많을 수 있음 |
복잡성 | 비교적 간단한 설정 | 보통 더 복잡한 구현 필요 |
실시간 업데이트 | 가능 | 직접 요청해야 하므로 실시간 아님 |
데이터 제어권 | 상대적으로 제한적 | 완전 제어 – 필요할 때 직접 조회 |
How do Webhooks work?
웹훅은 HTTP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소프트웨어 훅(software hook)의 일종입니다.
- 트리거 이벤트: 데이터를 보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합니다(예: 새 이메일 수신, 주문 생성, 프로필 변경 등).
- 웹훅 URL: 데이터를 받을 애플리케이션의 미리 등록된 웹훅 URL이 준비되어 있습니다.
- 데이터 전송: 이벤트 관련 데이터가 JSON 등 페이로드 형태로 웹훅 URL에 HTTP POST 요청으로 전송됩니다.
- 수신 측 액션: 웹훅을 받는 애플리케이션이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해 DB에 저장, 워크플로우 트리거, 알림 전송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.
Webhooks Example
아래는 실제로 웹훅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들입니다.
예시 1: Shopify로 온라인 스토어를 운영하며 새 주문마다 Slack 알림 받기
- 트리거 이벤트: 고객이 쇼핑몰에서 새 주문을 합니다.
- 웹훅 액션: Shopify(이커머스 플랫폼)가 Slack 웹훅 URL로 HTTP POST로 주문 데이터를 자동 전송합니다.
- Slack은 받아온 정보를 팀 채널에 자동 메시지로 알립니다(주문자, 주문번호, 금액 등).
예시 2: Bubble에서 앱을 만들었고, 신규 가입자를 이메일로 받을 때
- 트리거 이벤트: 사용자가 연락처 정보를 포함한 이메일을 보냅니다(이메일이 Parseur로 포워딩됨).
- 웹훅 액션: Parseur가 Bubble의 웹훅 URL로 추출된 연락처 데이터를 HTTP POST로 보냅니다.
- Bubble은 해당 데이터를 받아 신규 사용자로 자동 등록합니다.
Bubble, Parseur, Webhooks 통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
Parseur and Webhooks
Parseur는 이메일, PDF 등 다양한 문서에서 데이터 추출에 특화된 강력한 AI 파싱 솔루션입니다. Parseur의 웹훅 기능을 활용하면 문서 처리와 앱 연동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
Parseur가 문서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면, 웹훅을 통해 이 데이터가 지정된 URL로 즉시 전송됩니다. 즉, 새로운 문서를 처리할 때마다 데이터가 CRM, 데이터베이스, 또는 커스텀 앱 등으로 자동 전달되어 추가 수작업 없이 통합됩니다.

Parseur와 웹훅을 함께 사용하면
- 실시간 자동화: Parseur 문서 처리 후 웹훅으로 데이터를 즉시 연동 앱으로 전달해 워크플로우가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됩니다.
- 유연한 통합: CRM, 회계, 맞춤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와 빠르고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.
- 맞춤화: 데이터를 원하는 곳, 원하는 방식으로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권이 있습니다.
- 확장성: 데이터 양이 늘어나도 웹훅을 활용해 대량 문서를 자동으로 빠르게 처리·전송할 수 있습니다.
웹훅의 대표적인 활용 사례
웹훅은 다양한 산업과 앱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.
- 이커머스: 주문이 변경될 때 재고 자동 업데이트, 고객 알림 자동 전송
- 마케팅: 리드 폼 작성, 뉴스레터 구독 등 행동에 따라 실시간 알림 또는 데이터 자동 기록
- 고객 지원: 문의 등록 시 헬프데스크에 자동으로 지원 티켓 생성
- 금융: 결제 또는 송장 발행과 동시에 회계 소프트웨어로 데이터 전송
- 인사관리: 신규 직원 온보딩 문서 제출 시 직원 정보 자동 업데이트
웹훅은 애플리케이션 간 실시간 데이터 연결과 자동화를 쉽게 구현하게 해주는 핵심 도구입니다. 웹훅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면, 업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
웹훅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드립니다.
-
폴링이란 무엇인가요?
-
소프트웨어와 API에서 폴링이란 서버에 정기적으로 반복적인 요청을 보내 새로운 데이터가 있는지 또는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.
-
JSON 형식이란 무엇인가요?
-
JSON(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, JavaScript Object Notation)은 사람이 읽고 쓰기 쉽고, 기계도 쉽게 해석 및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 형식입니다.
-
언제 웹훅을 사용해야 하나요?
-
Parseur는 이미 Make 및 Zapier와 기본 연동을 제공합니다. 커스텀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, 앱이 일반적인 자동화 도구와 통합되지 않을 때 웹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
Parseur에 웹훅에 대한 완전한 문서가 있나요?
-
네, 여기에서 문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.
마지막 업데이트